2025 증여세 면제한도는 얼마일까?

부모가 자녀에게 재산을 증여할 때 세금이 있다는 것을 많은 분들이 알고 있습니다.

증여세는 일정금액까지는 면제가 되는데 많은 사람들이 어느 금액까지 면제가 되는지 정확히는 모르고 있습니다.

 

증여세 면제한도는 증여자의 관계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며

성인자녀와 미성년 자녀의 기준도 다르게 적용됩니다.


오늘은 증여세 면제한도가 정확히 얼마이며 계산방법 그리고 절세 Tip까지 자세히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2025 증여세 면제한도는 얼마일까?

 

 

부모가 자녀에게 증여 시 면제금액은?

보통 증여를 한다고 하면 부모가 자녀에게 하는 경우가 99% 입니다.

성인자녀와 미성년자녀의 면제한도가 다르므로 아래 내용을 확인하여 유념해두길 바랍니다.

 

성인자녀에게 증여할 경우

  • 증여세 면제한도 - 5000만원
  • 부모가 성인자녀에게 증여할 경우 10년동안 연간 5000만원까지는 증여세가 면제됩니다.
  • 6000만원을 증여할 경우 5000만원을 제외한 1000만원에 대한 증여세가 부과됩니다.

미성년자녀에게 증여할 경우

  • 증여세 면제한도 - 2000만원
  • 미성년자녀에게 증여할 경우 10년동안 연간 2000만원까지는 증여세가 면제됩니다.
  • 6000만원을 증여할 경우 2000만원을 제외한 4000만원에 대한 증여세가 부과됩니다.

증여 TIP !

부모가 각각 증여하면 면제한도가 각각 적용됩니다.

즉 아버지와 어머니가 성인자녀에게 각각 5000만원씩 증여한다면 총 1억원까지 면제가 된단 말입니다.

 

 

면제한도 초과 시 증여세 계산방법은?

증여세는 '과세표준 - 면제한도를 초과한 금액'에 대해 아래 세율이 적용됩니다.

아래표를 확인하여 증여 시 참고하길 바랍니다.

과세표준 (초과금액) 세율 누진공세
1억 원 이하 10% 없음
5억 원 이하 20% 1,000만 원
10억 원 이하 30% 6,000만 원
30억 원 이하 40% 1억 6,000만 원
30억 원 초과 50% 4억 6,000만 원

 

➡️ 성인자녀에게 1억원 증여 시

  • 증여세 면제한도 : 5000만원
  • 과세표준 : 1억원 - 5000만원 = 5000만원
  • 세율 : 10%
  • 증여세 : 5000만원 x 10% = 500만원

➡️ 미성년자녀에게 1억원 증여 시

  • 증여세 면제한도 : 2000만원
  • 과세표준 : 1억원 - 2000만원 = 8000만원
  • 세율 : 10%
  • 증여세 : 8000만원 x 10% = 800만원

하지만 자녀에게 증여하는 것인데 이왕이면 세금을 줄여서 증여하고 싶을 겁니다.

그래서 아래 증여세를 절세하는 Tip 몇가지를 정리해놓았으니 확인바랍니다.

 

 

증여세 절세 Tip !

증여세 대표적인 절세 방법 3가지를 가져왔습니다.

아래를 확인하여 자녀에게 증여할 때 참고하길 바랍니다.

 

1️⃣ 여러 해에 걸쳐 나누어 증여하기

  • 한 번에 1억 원을 증여하면 세금이 크지만, 5년간 매년 2,000만 원씩 증여하면 세금이 없음

2️⃣ 부모 각각 증여하여 한도 늘리기

  • 아버지, 어머니 각각 5,000만 원(성인 기준) 증여하면 최대 1억 원까지 면세 가능

3️⃣ 생활비·교육비는 증여세 면제

  • 학비, 생활비, 의료비 등 일반적인 생계비용은 증여로 간주되지 않아 세금이 없음

 

 

2025년에는 증여세 개정이 될 줄 알았는데 불발이 되고 말았습니다.

2026년에는 개정이 되길 바라며

오늘의 포스팅이 자녀에게 증여를 계획 중인 부모에게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