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세 면제한도와 비과세 한도 차이점 알아보기!

상속을 준비하거나 재산을 물려받는 과정에서

상속세 면제한도 또는 상속세 비과세 한도

이 2가지의 용어에 대해 자주 듣게 됩니다.

 

 

이 2가지 용어는 비슷해 보이지만 적용 기준과 범위에서 서로 다른점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 2가지 용어

상속세 면제한도와 비과세 한도의 차이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속세 면제한도와 비과세 한도 차이점 알아보기!

 

 

상속세 면제한도 - 그게 뭐야?

상속세 면제한도

상속 재산 중 일정 금액 이하의 재산에 대해

상속세를 부과하지 않는 기준을 상속세 면제한도라 합니다.

보통 상속공제 항목을 통해 공제되는 금액을 말합니다.

➡️ 상속세 면제 항목 ⬅️

기본공제 : 2억 원 공제

배우자 공제 : 최대 30억 원 공제

미성년자&연로자 공제 : 나이별 공제

장애인 공제 : 장애 정도별 추가 공제

부양가족 공제 : 일정 조건 충족 시 공제

금융재산 공제 : 최대 2000만 원 공제

동거주택 공제 : 최대 6억 원 

 

위의 항목들 중 본인에 해당되는 항목을 합산하여 나온 금액으로

상속세 면제한도가 결정됩니다.

 

 

상속세 비과세 한도 - 그건 또 뭐야?

상속세 비과세 한도

면제가 아닌 아예 세금자체가 부과되지 않는 금액을 의미합니다.

➡️ 상속세 비과세 항목 ⬅️

유족&국민연금 : 사망 후 지급되는 연금은 비과세

보험금 일부 : 사망보험금 중 일부 비과세

공익법인 출연 재산 : 공익사업에 기부한 재산 비과세

농지 상속 : 일정 요건 충족 시 비과세

 

상속세 비과세 한도는

위의 항목들처럼 세금 자체가 아예 없는 것을 말합니다.

 

 

상속세 면제한도 & 비과세 한도 차이점! - 상속세 절세방법도 알아보자

구분 상속세 면제한도 상속세 비과세 한도
정의 일정 금액까지 공제 후 과세 세금 자체가 없음
방식 상속세 신고 후 공제 적용 처음부터 과세 대상에 없음
세금 감면 여부 상속세 계산 시 일부 금액 공제 과세 대상에 없음

➡️ 상속세 절세 방법 ⬅️

배우자 상속공제를 최대한 활용할 것

미리 증여를 하여 상속세 부담을 줄일 것

공제항목 적극 활용하여 신고할 것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절세 전략을 세울 것

 

 

마무리

상속세 면제한도와 비과세 한도는

기준부터가 다르기 때문에

상속세를 절감하려면 이 2가지 용어를 정확히 이해하고 활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의 포스팅이 상속세 면제한도와 비과세한도의 차이점에 대해 궁금한 분들에게

작은 도움이 되길 바라며 이만 포스팅을 마칩니다.^^